한중일 문화교류포럼

Home  /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  포럼결과보고

포럼결과보고

제16회 한중일 문화교류 포럼 결과보고서

작성자
admin
작성일
2024-10-30 12:12
조회
235
Ⅰ. 포럼 개요
ㅇ (일 시) 2023년 10월 31일(월) ~11월 2일(목), 3박 4일간
ㅇ (장 소) 인천 쉐라톤 인천 그랜드 호텔
ㅇ (주 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문화교류
ㅇ (주 최) 한일문화교류회의
ㅇ (공동주최) 중국 인민대외우호협회, 일본 문화재보호·예술연구 조성 재단
ㅇ (참 석 자) 한중일 각국 위원 및 관계자 등 약 40여명 (*붙임자료)
ㅇ (주요일정)
일자 시간 행사 내용 비고
10.30(월) 08:20~10:55 일본대표단 입국(하네다→김포) JL091
08:40~11:50 중국대표단 입국(베이징→인천) CA123
11:00~15:00 중국, 일본대표단 호텔이동 전세버스
18:00~21:00 인천광역시 초청 환영만찬 호텔4F 오키드2+3
10.31(화) 09:00~12:00 제16회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본회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문화교류」 호텔4F 오키드2+3
12:00~13:30 점심식사 호텔4F 유에 (중식당)
15:00~18:00 한중일 서예 라이브 퍼포먼스 호텔4F 오키드2+3
18:30~20:30 저녁식사 송도 경복궁
11.1(수) 09:30~11:00 인천 개항장 거리 시찰 인천
12:00~13:30 점심식사 강화도 안다미로한정식
14:00~15:30 강화도 시찰 강화도 일대
18:00~20:00 저녁식사 호텔2F 베네 (이태리 식당)
11.2(목) 09:00~10:00 중국, 일본 대표단 공항이동 전세버스
12:05~14:10 일본대표단 귀국(김포→하네다) JL092
13:05~14:20 중국대표단 귀국(인천→베이징) CA124
Ⅱ. 포럼 내용
□ 제16회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개회식 및 인천광역시 초청 환영만찬
ㅇ일시/장소 : 2023년 10월 30일(월) 18:00~21:00/쉐라톤호텔 4F 오키드2+3
ㅇ참 석 : 한중일 3국 대표단 및 주요내빈 등 총 40여 명
ㅇ행사내용 : 개회선언 및 ‘우리들은 미래*‘ 환영 합창, 각국 위원장 및 내빈 인사말씀, 환영연회, 기념품 교환 등
*우리들은 미래 : 일본 문화청의 미야타 료헤이 장관이 일본 측 위원으로 포럼에 참가하였을 당시 제작된 노래로, 1∼3절의 3국 언어로 된 가사에는 아시아의 평화로운 미래를 향해 나아가자는 의미가 담겨 있음. 제9회 포럼(2013년, 일본 니가타) 이후 개최국에서 매년 청소년 합창단의 합창 무대를 마련하고 있음.

□ 제16회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본회의
ㅇ일시/장소 : 2023년 10월 31일(화) 9:00~12:00/쉐라톤호텔 4F 오키드2+3
ㅇ참 석 : 한중일 3국 대표단 및 각국 전문가 등 총 25여명
ㅇ행사내용 : 각국 위원장 개회사 및 주제발언, 전문가 강연, 위원 주제발언 등
ㅇ주 제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문화교류
– 한국 : 김효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조교수
– 중국 : 박광해,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
– 일본 : 사와 가즈키, 문화재보호예술연구조성재단 이사장

□ 한중일 서예 라이브 퍼포먼스
ㅇ일시/장소 : 2023년 10월 31일(화) 15:00~18:00/쉐라톤호텔 4F 오키드2+3
ㅇ참 석 : 한중일 3국 대표단 및 각국 전문가 등 총 40여명
ㅇ행사 프로그램
1. 일본 : 서예가 – 시슈, 연주 – 사와 가즈키
주제 : 「사람들은 서예로 만물을 어떻게 이해해 왔는가」
2. 중국 : 서예가 – 왕동성, 연주 – 룡련
주제 : 「다양성 존중과 조화로운 세상」
3. 한국 : 서예가 – 김종건, 연주 – 폴커비, 노래 – 미선레나타
주제 : 「평화의 꽃을 피우다」

Ⅲ. 포럼 결과
1. 본회의 요점 및 결과
ㅇ2005년부터 제1회 포럼을 시작으로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에서 순차 개최되고 있는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2019년 11월 일본 도쿄에서 제15회 3국 전체회의가 개최된 이래 세계적인 코로나 팬데믹으로 중국측과 일본측과의 협의에 따라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개최가 보류된 후 2023년 제16회가 성공리에 개최됨. 본 포럼은 한국이 중국 및 일본과 수교의 문호를 개방한 역사적인 개항지로서 공항과 항구를 통하여 국제교류가 활발한 아시아의 허브도시인 인천광역시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문화교류‘라는 주제로 개최됨.

ㅇ정구종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한중일문화교류포럼은 지난 수년간의 코로나 팬데믹 중에서도 온라인을 통한 교류활동을 계속해 왔으며, 특히 중국측의 제안으로 지난 3년간 한중일 서예 명가전을 온라인으로 개최하고 유튜브를 통하여 현장중계를 함으로써 지속적인 교류관계를 이어왔음을 소개. 이처럼 코로나를 계기로 동아시아의 문화교류, 인적교류도 SNS 시대에 부응하는 소통과 공감의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문화예술교류와 국민교류에 대한 각국 전문가의 발표와 활발한 토론을 기대한다고 말함.

ㅇ한국측 전문가인 김효진 서울대학교 조교수는 한중일 문화교류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문화교류를 통한 지속적인 접촉의 필요성이며, 지속되어야 한다는 상호간의 신뢰와 믿음이라고 말함. 개별적인 사건을 실제로 함께 겪고 공유한 사람들의 경험, 내재된 지식 및 감각이야말로 역사이며, 이런 경험을 젊은 세대들이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에서도 함께 지속적으로 만들어나가는 것이 앞으로 한중일 문화교류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설명함.

ㅇ중국측 전문가인 박광해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중일 문화교류 촉진을 위한 5가지 방법을 제시. 첫째, 풍부한 인적교류 자원을 깊이 발굴, 둘째, 3국이 공통적으로 직면한 문제, 관심 있는 화제에 초점을 맞추어 토론과 교류를 활성화, 셋째, 3국 청소년 교류를 지속적으로 확대, 넷째, 3국 언론(인터넷) 간의 교류와 협력을 강화, 다섯째, 다른 나라와 지역과의 문화교류를 지속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함.

ㅇ일본측 전문가인 사와 가즈키 문화재보호․예술연구조성재단 이사장은 이웃나라는 정치적, 경제적인 면에서는 서로 충돌하는 일이 많지만 문화예술 분야는 쉽게 교류가 가능한 분야임을 강조하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중일 문화교류는 음악 등 문화예술 분야를 통하여 서로를 존중하며 문화교류 활성화를 촉진해야 한다고 설명함.

2. 한중일 서예 라이브 퍼포먼스 내용 및 결과
ㅇ한중일 3국의 대표적인 서예 작가들이 각국의 주제를 가지고 서예를 현장에서 직접 시연하는 가운데 3국 음악가들이 피아노, 바이올린, 피리 등 연주하는 서예 라이브 퍼포먼스를 펼침. 서예라는 예술적 표현을 통하여 전통적 예술의 아름다움을 전달하며, 3국 문화예술교류의 중요성을 다시 일깨워준 자리가 되었음.


(붙임자료)
제16회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3국 대표단 명단

□ 한국 측(9명)
ㅇ정구종 (한일문화교류회의 위원장, 동서대 석좌교수)
ㅇ권병현 (한중문화청소년협회 회장, 미래숲 대표, 전 주중대사)
ㅇ신정승 (한중우호협회 회장, 전 주중대사)
ㅇ김효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조교수) 【전문가】
ㅇ김종건 (필묵 대표이사) 【서예가】
ㅇ이동국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수석 큐레이터)
ㅇ서현재 (한중우호협회 사무국장)
ㅇ이강민 (한일문화교류회의 사무국장, 한양대 교수)
ㅇ김민경 (한일문화교류회의 사무국 직원)

□ 중국 측(10명)
ㅇ이희규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 부회장)
ㅇ전지강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 동아시아부 부주임)
ㅇ주 강 (강서성 인민정부 외사판공실 종합처장)
ㅇ황지신 (강서성 무주시 정부당원, 부시장)
ㅇ만 검 (강서성 무주시 정부당원, 대외우 협회장)
ㅇ박광해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 【전문가】
ㅇ왕동성 (중국국가화원 연구원) 【서예가】
ㅇ룡 련 (중국동방연예그룹 피리 수석 연주가) 【연주가】
ㅇ주소단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 동아시아부 직원)
ㅇ이박환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 동아시아부 직원)

□ 일본 측(8명)
ㅇ사와 가즈키 (문화재보호․예술연구조성재단 이사장, 도쿄예술대학 총장) 【전문가·연주가】
ㅇ고미야 히로시 (문화재보호․예술연구조성재단 전무이사)
ㅇ센바 시로 (문화재보호․예술연구조성재단 고문)
ㅇ고바야시 가즈오 (문화재보호․예술연구조성재단 사무국장)
ㅇ시 슈 (시슈 아틀리에 대표) 【서예가】
ㅇ후쿠가와 다쿠야 (시슈 아틀리에 직원)
ㅇ곤도 마리코 (시슈 아틀리에 직원)
ㅇ세토 다카코 (시슈 아틀리에 직원)

□ 주요 내빈(7명)
・박덕수(인천시 행정부시장)
・유필우(인천시 정책특별보좌관)
・가와세 가즈히로(일본대사관 공보문화원장)
・동임겸(한중우호협회 사무차장)
・이희섭(한중일 협력사무국 사무총장)
・김인협(한중일 협력사무국 사회문화부 담당관)
・신용석(인천경제자유구청 IFEZ 국제 담당특보)
전체 0

전체 17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7
제16회 한중일 문화교류 포럼 결과보고서
admin | 2024.10.30 | 추천 0 | 조회 235
admin 2024.10.30 0 235
16
제15회 한중일 문화교류 포럼 결과보고서
kjcec | 2021.04.12 | 추천 0 | 조회 3078
kjcec 2021.04.12 0 3078
15
제14회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결과보고서
kjcec | 2021.04.12 | 추천 0 | 조회 2578
kjcec 2021.04.12 0 2578
14
제13회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결과보고서
kjcec | 2021.04.12 | 추천 0 | 조회 2702
kjcec 2021.04.12 0 2702
13
제12회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결과보고서
kjcec | 2020.10.07 | 추천 0 | 조회 3704
kjcec 2020.10.07 0 3704
12
제11회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결과보고서
kjcec | 2020.10.07 | 추천 0 | 조회 3486
kjcec 2020.10.07 0 3486
11
제10회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결과보고서
kjcec | 2020.10.07 | 추천 0 | 조회 1972
kjcec 2020.10.07 0 1972
10
제9회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결과보고서
kjcec | 2020.10.07 | 추천 0 | 조회 1933
kjcec 2020.10.07 0 1933
9
제8회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결과보고서
kjcec | 2020.10.07 | 추천 0 | 조회 1935
kjcec 2020.10.07 0 1935
8
제7회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결과보고서
kjcec | 2020.10.07 | 추천 0 | 조회 1702
kjcec 2020.10.07 0 1702
7
제6회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결과보고서
kjcec | 2020.10.07 | 추천 0 | 조회 1744
kjcec 2020.10.07 0 1744
6
제5회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결과보고서
kjcec | 2020.10.07 | 추천 0 | 조회 1737
kjcec 2020.10.07 0 1737
5
제4회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결과보고서
kjcec | 2020.09.25 | 추천 0 | 조회 1774
kjcec 2020.09.25 0 1774
4
제3회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결과보고서
kjcec | 2020.09.25 | 추천 0 | 조회 1621
kjcec 2020.09.25 0 1621
3
제2회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결과보고서
kjcec | 2020.09.25 | 추천 0 | 조회 1659
kjcec 2020.09.25 0 1659
2
제1회 한중일 문화교류포럼 결과보고서
kjcec | 2020.09.25 | 추천 0 | 조회 1650
kjcec 2020.09.25 0 1650
1
한중일 문화교류 포럼 창설 취지문 및 운영세칙
kjcec | 2020.09.25 | 추천 0 | 조회 1575
kjcec 2020.09.25 0 1575